토종(土種)은 한자 흙 토와 씨앗 씨를 붙인 단어로 이 자체가 씨앗이라는 뜻을 갖고있다. 그리고 이 씨앗은 수 천년을 흘러 내려오면서 그 지역 사람들 몸에 맞추어 졌고, 또 날씨나 철하고 어울린다. 하지만 이렇게 대를 이어 심어오던 씨앗은 외국계 대기업 종자회사가 등장하면서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 또 대부분의 종자가 F1(잡종1세대)이고 농업인들은 해마다 종자를 사서 써야하는 상황이 오는 등 종자선택권을 잃어가고 있다.

■ 생명력이 강한 토종작물

북흑조, 구억배추, 쓴메밀, 게걸무, 토종오이, 조선대파, 고야(토종자두) 같은 토종작물은 수 천년을 걸쳐 내려오면서 농업의 한 축을 담당했다.
토종작물은 농약사용이나 화학비료의 힘을 빌지 않고서도 잘 자라고, 가뭄과 장마에도 잘 견딘다.

하지만 2016년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전체 21만761개의 자원 가운데 토종 종자는 5만 2,526 자원으로 24.9%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 종자 대부분이 외래종이 차지하고 있다는 뜻이다.
또 20년전 외환위기 당시 대부분의 종자회사가 외국계 기업의 손에 넘어가면서 국산 종자 보급률이 매우 저조해 외국에 지급하는 로열티가 급증하고 있다. 토종작물은 이를 극복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토종배추, 버들벼 등 맛 일품

토종의 장점은 우리 몸에 맞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토양이 갖고 있는 약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이 토종이다. 개량종은 대량생산이 되고, 한번 심으면 굉장히 좋은 품질이 나오는 장점이 있지만 토종에 비해 고유의 맛이 떨어지고, 환경에 취약하다는 평이다.

예를 들어 토종 배추의 경우 포기는 조금 작지만 고소한 맛이 강하고, 조직이 단단해서 김장을 해도 쉽게 무르지 않아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버들벼는 낟알이 거칠지만 씹을수록 찰기가 강해지고, 선비잡이콩은 정승콩으로도 불리는데 과거를 보러가던 선비가 먹어보고는 과거시험을 포기하고 농사를 지었다고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맛이 뛰어나다.

■ GMO에 맞설 대안으로 손꼽혀

토종은 GMO(유전자변형 농산물)을 이겨낼 대안으로도 손꼽힌다. GMO는 생물체의 유전자 중에 유용한 유전자를 추출, 그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생물체에 삽입해 유전자를 조작하거나 변형한 식물을 말한다. 다시 말해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조작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교배시켜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육종과는 다르다.

따라서 토종을 안전하게 보존하고, 계속해서 재배해 나가면서 유전적 다양성을 키우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여기에 그치지 않고 생산된 토종작물에서 다시 씨앗을 얻고, 확산시키는 운동도 확산되고 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