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주의 ‘다중지성(多重知性)’은 모두의 머리만 모을 것이 아니라 가진 바 역량을 모두 합쳐보자는 의미로 탄생한 모임체이다.

강원도 고성군의 4농가가 모인 ‘특수작목’은 말 그대로 특수한 작목을 특수한 기술로 키워 판다는 농업인들의 모임이다. 충북 옥천의 ‘마중물’은 힐링캠프라는 캠핑장을 소비자와 만나는 접점으로 삼아 현장에서 문제의 답을 찾는 모임이다.

충남 공주에는 각기 다른 작목, 서로 다른 연령층, 남다른 자존심으로 똘똘 뭉쳐 만들어낸 브랜드 ‘연예인농부들’이 있다. 전북 고창의 ‘녹색스쿨’은 일률적인 농촌체험을 교육적인 내용의 학습으로, 농업인은 선생님으로 변모시킨 여성파워 모임체 이다. 전남 영광의 ‘별난 농부들’은 농촌으로 유입된 귀농귀촌인구들이 점차 자리를 잡으면서 사회의 경험을 살려 지역농업 활성화에 기여하는 사례이다.

경북 구미의 ‘자연 농업 연구회’는 친환경농업은 당장의 수익보다 느리더라도 멀리 보면 생활습관도 친환경 적일 때 이룰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모임체이다. 경남 진주의 ‘농띠’는 보조금으로 인해 농업경영체의 자생력이 약해지고 있다고 보고 스스로를 발전시키기 위한 스마트 (Smart), 스토리(Story), 나눔(Share) 세 가지 원칙을 설정하고 있다.

앞서 소개한 지역도 다르고 작목도 다르고 구성도 다르지만 전체 구성을 보면 다소 궁금증이 생길만한 모임들인데, 다른 농업인에게 아직 귀감이 되거나 모범사례가 될정도는 아니지만 현재 잘하고 있고 앞으로가 기대되는 농가나 모임체들이다.

외국에도 그 나라의 정서에 맞는 언어로표현되어 우리말로 해석하면 다른 단어가 되지만 분명히 가족농(소농)으로 분류되는 농가가 있다. 본래 가족농의 개념은 미국에서 1900년대 정의되었으며, 경제학의 발전에 따라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게 정의되었다. 소농은 UN뿐 아니라, EU나 미국, 가까운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도 앞으로 농업의 향방을 가를 중요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농(소농)에 대한 관심이 높다. 세계식량안전보장위원회 (CFS)는 소규모 가족농 연구보고서에서 소규모 가족농의 가치와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강소농(强小農)은 ‘작지만 강한 농업’을 일컫는 말로 2011년부터 경쟁력 있는 농업 경영체 육성을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우리 농업의 도약을 위해서는 직접 지원보다 자생력 있는 농업을 만드는 사람의 역량강화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1년부터 기본, 심화, 후속의 3단계 교육을 제공하여 성장을 돕고 있으며 자율학습모임체 구성도 권장하여 동반성장을 유도하고 있다. 1부의 사례에서 언급된 농업인들은 2015년 선발된 우수 강소농으로 면면을 보면 단순히 경쟁력 있는 소농의 범주를 뛰어 넘기 시작했다.

기존의 농업정책이 물량의 지원과 그 결과에 집중했다면 강소농 프로그램은 계속 사람들이 앞으로 갈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이 핵심이며 완성형이 아니라 진행형이다. 따라서 프랑스, 미국, 독일 등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농업육성 정책을 경제측면 뿐 아니라 환경, 복지까지 아우르는 국가전략으로 육성이 필요하다.

 강소농 ‘다중지성’, ‘특수작목’ 등 활동

경기도 광주의 ‘다중지성(多重知性)’은 지역 13농가가 2주에 한 번 모여 각자의 다양한 삶의 경험으로부터 나오는 지식과 정보를 공유한다는 뜻으로 지은 이름이다.
모두의 머리만 모을 것이 아니라 가진 바 역량을 모두 합쳐보자는 의미로 탄생했는데 자가생선액비 개발을 통해 생산비를 줄이는 활동을 주로 하고 있다.

특히 광주시농업기술센터에 생선액비제조기술을 아는 지도사가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와함께 강원도 고성군의 4농가가 모인 ‘특수작목’은 말 그대로 특수한 작목을 특수한 기술로 키워 판다는 농업인들의 모임으로 아직은 낯선 작목인 ‘어린잎채소’와 친환경농법인 ‘해양심층수’ 재배법의 시장성과 발전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밖에도 충북 옥천 ‘마중물’, 충남 공주 ‘연예인농부들’, 전북 고창 ‘녹색스쿨’, 전남 영광 ‘별난 농부들’, 경북 구미 ‘자연농업 연구회’, 경남 진주 ‘농띠’ 등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동기부여 통해 자발적 참여 끌어내야

앞서 말한 곳은 농가도 아니고, 경영체도 아니며, 협동조합도 아닌 단순한 모임에 가까운 특징이다. 강소농(强小農)은 ‘작지만 강한 농업’을 일컫는 말로 농촌진흥청이 2011년부터 경쟁력 있는 농업경영체 육성을 목적으로 시작했다. 급변하는 농업환경 변화에 맞춰 우리나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규모 농가가 스스로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했다.

강소농의 핵심은 완성이 아니라 진행형이다. 기존의 농업정책이 물량의 지원과 그 결과에 집중했다면 강소농 프로그램은 계속 사람들이 앞으로 갈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이 핵심이다.
최신 경영 기법인 ‘동기부여’를 통해 농업인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고 목이 마를 때 마중물이 되는 ‘기초경영지식’을 전달하는 것이다.

또 강소농 육성은 지자체와 국가농업지도기관에서 담당하고, 중앙정부는 인구문제, 노인 및 소외층 복지에 대한 인프라 구축을 담당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