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단체들이 오랜만에 한데 뭉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10일 한미FTA 개정 관련 공청회 저지를 위해 전농, 품목연대조직인 농축산연합회, 축산관련단체 연대인 축단협 등이 의기투합했다. 공청회를 중단시킨 이들 단체들은 15일엔 ‘한미FTA 개정협상 공청회는 무효이고, 한미FTA는 폐기해야 한다’라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아스팔트 농민운동으로 활동이 점철된 진보진영의 전국농민회총연맹과, 선명한 이익단체로 보수적 기질이 다분한 축산관련단체, 그밖의 농민단체 등은 그간 같은 농업문제를 놓고도 다소간 이견차를 보여왔었다. 여러차례의 FTA협상만 보더라도 ‘결사반대’와 ‘조건반대’ 등으로 어쩌면 만남없이 평행선을 달려왔다고 볼 수도 있는 집합체들이다.

이번 한미FTA재협상 문제와 관련, 일부단체는 ‘폐기’ 또 다른 단체들은 ‘농업제외’로 분명한 온도차를 보여왔던게 사실이다.

이들 단체들의 ‘범농업계 결집’은 자구적인 연대의 필요성보다는 정부라는 막강한 ‘공공의적’과 맞서야 하는 필연적 숙명이 맺어논 것이라는 분석이 일반적이다. 맞서 싸울 대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합치는 본능적인 연대인 것이다. 하지만 이들의 결합은 농업계가 한목소리를 낸다는 의미에서 값어치가 크다. 그간 정부나 산하단체는 농민단체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정책을 꾸려온 게 사실이다. 간격 차가 보일때 마다 그 틈을 이용해 정부 의지대로 공공연히 정책을 펼쳐왔던 바이다. 이같은 낭비요소를 없애고 적극 대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헌데, 우려할 점이 생겼다. 여기에 주축 세력인 축산관련단체들이 틈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축단협 중에 한우협회는 여러 공통사안에 맞부딪칠 때면 다른 축종의 단체들과 간간이 입장을 달리 해왔었다. 이런 배경이 깔린 가운데, 18일 농민대회에 축단협의 연대 참여가 미온적으로 흐르자, 한우협회 독자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힘과 동시에 이번 기회에 축단협을 탈퇴하자는 협회 내부 회의를 가진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정체성 자체가 이익단체인 농민단체를 매번 결속을 다지거나 연대활동을 종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존재의 유무를 다투는 중요한 시점임을 대한민국의 농민단체들은 유념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