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는 약 7,000년 전에 농경문화의 발상지인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처음 가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사육되고 있는 소들은 거의 2종의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각지역에서 가축화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한우는 시베리아 등지에 서식하던 유럽원우 계통이 중국 북부를 거쳐 우리나라까지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우라는 이름은 광복이후에 불리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일제강점기 당시 명칭은 조선우이고, 그 전에는 그저 소였다. 한때 한우가 적갈색 소로 통일된 것은 일본이 자국의 특수한 이익을 얻기 위한 ‘조선우심사표준(1938)’을 제정하였기 때문이다.

소를 잘 키우는 방법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고려시대에 이미 전담하는 관청에 의해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과학적인 사실에 근거한 소 사육기술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사람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가축사양기술은 소 뿐 아니라 다른 축종 에도 영향을 미치는 근본기술로 개량의 성과를 눈으로 확인시켜 주는 중요한 기술이다.

육종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 이상적인 가축을 만들어가는 것이라면, 사양(飼養)기술은 이상을 현실로 바꾸는 과학기술이다. 사양기술의 목적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축종에 따라 바뀌는 것이 보통으로 현대 사양기술의 목표를 다음 4가지 정도로 요약된다.

첫 번째는 양적 생산에서 질적이고 위생적인 축산물 생산, 두 번째는 가축의 영양 위주에서 기능성 식품생산으로의 전환, 세 번째는 사양관리형태를 개체별 관리에서 축군(畜群)과 개체 통합 형태로, 관리방법도 인력에서 기계화로, 마지막은 생산된 축산분뇨의 친환경적이면서 자원의 순환을 고려한 처리이다. 즉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농가에는 이익을, 소비자에게는 고품질의 축산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하지만 국내 유통되는 소고기의 가격이 비싸고, 건강에 좋지 않다는 등의 잘못된 소비자 인식을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 한우가 미국산이나 호주산에 비해 비싼 이유는 사양기간이 더길고, 육질 등의 품질이 더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과 일본, 동남아를 포함하는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적극적인 연구프로젝트에 집중 투자할 필요성이 높은 시기이다.

더구나 소비자들의 관심도 높아짐에 따라 무항생제 축산, 동물복지 인증농장의 확산 등으로 국내 소비자의 호감도와 신뢰도를 높여야 할 시기이기도 하다.

■ 한우는?

소는 약 7,000년 전에 농경문화의 발상지인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처음 가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동양권에서 이보다 늦은 기원전 2,000년 경 중국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우라는 이름은 광복이후에 불리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일제 강점기 당시 명칭은 조선우이고, 그 전에는 그저 소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소는 지역별로 가축화된 종이 다양하여 흑색, 청색, 갈색, 얼룩, 흰색 등 9종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농작물과 마찬가지로 우리 소도 계속 용도에 맞도록 개량을 해왔던 것이 기록으로 확인된다. 조선시대 수의학 서적인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에 의하면 농경용 소는 눈은 큰 백맥이 있어 눈동자를 관통해야 하고, 뿔은 짧으면서두 뿌리가 가까워야 하고, 몸체는 목뼈가 크고 길어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 수입산보다 육질, 풍미 높아

우리나라의 과학적인 사실에 근거한 소 사육기술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사람들에 의해 시작
했다. 1906년 수원에 권업모범장이 설치되어 근대적 축산기술이 도입 되면서 한우개량사업을 한 것이 시초다.

1970년대는 가축육종의 도약기로 본격적인 가축육종사업이 시작, 검정과 후대검정을 통한 과학적 선발과 연구가 시작됐고, 한우가 더 이상 일소가 아닌 고기소로서의 개량이 시작됐다. 현재는 육질·성장의 동시 개량체계로 변경하고, 씨수소용 송아지 전문생산 육종농가(총 100호)운영으로 농가중심의 개량체계 토대가 마련돼 있다.

또 가축사양기술은 1960년대 농산 부산물을 주된 먹이로 주는 형태였지만 현재는 한국 가축사양표준 제정, 수출용 한우고기 관련 정보 구축 및 손익분석, 수입국 소비자 기호 및 유통경로 연구까지 수행하고 있다.

특히 한우는 수입산보다 맛을 좋게 하는 풍미물질 함량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보고가 있고, 고기는 육안으로 볼 때 결이 곱고, 지방의 질이 섬세하게 분포된 것이 부드럽고 육즙이 풍부하다.

■ 소비자의 호감도 얻어야

국내 유통되는 소고기의 가격이 비싸고, 건강에 좋지 않다는 등의 잘못된 소비자 인식을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 한우가 미국산이나 호주산에 비해 비싼 이유는 사양기간이 더 길고, 육질 등의 품질이 더 뛰어나기 때문이다. 지방의 경우에도 장기간 키우는 과정에서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크게 늘어 외국산 고기에 비해 저밀도콜레스테롤 함량은 미미하다.

국내 한우고기 시장은 포화상태이기는 하나 지역별 브랜드의 축적된 기술력과 국가의 안전성 검증능력은 세계 수준으로 평가된다. 동물복지 인식의 향상으로 HACCP 제도나 친환경 유기한우 등에 대한 생활협동조합 등 소비자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무항생제 축산, 동물복지 인증농장의 확산 등으로 국내 소비자의 호감도와 신뢰도를 높여야 할 시기로 풀이된다.

한우농가 역시 음악 들려주기, 아름다운 목장 가꾸기, 방목형 목장 등환경과 소비자를 생각한다는 변화를 적극적으로 보여줘야 한다. 아울러 섬유질배합사료(TMR)의 경우, 맥주박, 사과박, 감귤박, 쌀겨, 비지박 등 수분이 많은 식품부산물 활용으로 환경보호에 기여해야 한다. 끝으로 고기의 품질을 높일 뿐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는 등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는 축산으로 변화하는 기술이라는 점을 적극 홍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