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키는 생활물품은 휴대전화나 커피값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통계청이 조사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소비자가 생활물품에 할애하는 비중을 분석해보니 신선채소, 축산물 등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보다 휴대폰 등 통신비 비중이 가장 많이 차지했다.

커피, 과자, 빙과류 등 가공식품의 비중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는데 이를 포함한 전체 외식비용 비중이 농산물 보다 최대 6배 이상 많았다. 예를 들어 분기당 배추값이 50% 오를 때 소비지출은 1천650원이 오르는 데 반해 통신비용이 10% 많아졌을 때는 1만533원의 추가 부담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농산물 가격보다 통신비용이나 커피, 과자, 빙과류 등 기호식품의 가격이 올랐을 때 소비자 부담이 더 크다는 말이다.

지난 12일 정부는 추석 민생안정대책으로 사과, 배, 배추, 무 등 농축산물을 대량으로 방출해 가격인상에 따른 소비자 부담에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추석 명절 수요에 대비해 10대 추석 성수품을 평시보다 평균 1.4배 확대 공급할 계획으로, 사과 배 등 과일류를 평소보다 2배, 임산물은 1.6배, 축수산물은 1.2배 더 시장에 푼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농업계는 물가안정을 이유로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 때문에 농산물 가격이 반등의 기회를 잃고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이어감에 따라 농업생산성은 물론 농가경제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농업의 특수성상 일정한 가격 등락은 당연한 현상이다. 따라서 최근 몇 년간 계속되고 있는 생산비 역전현상을 감안하면, 기상이변이나 명절 특수 같은 때 가격인상이 없으면 농가소득을 올릴 방법이 없는게 사실이다.

지난 정부는 농산물 가격을 잡는다는 명분으로 TRQ물량을 늘려 시장에 풀거나 정부비축 물량을 공급해 가격상승을 잡았다. 가장 최근에는 계란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태국, 스페인, 뉴질랜드, 호주 등에서 수입했었다. 반면 휴대폰시장 과열에 따른 통신비용 부담 가중 문제가 한 두 해 된 일이 아니건만 새정부 들어서도 큰 변화는 없는 상황이다. 새정부는 농축산물 가격인상 상황에 한 발 비켜나 신중히 대처하는 대신, 통신비나 옷값, 과자값 상승에 따른 소비부담 가중 문제해결 더 관심을 기울이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