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변형작물(GMO)의 재배와 유통, GMO를 이용한 가공식품과 그 표시제도 등에 관한 논란이 뜨겁다. GMO가 우리 식탁에 오른 지 벌써 20년이 됐다는 소식도 황망하지만 이를 식용할 경우 인체에 위해한지 여부를 두고도 과학적 입증 없이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데만 급급한 듯해 씁쓸하다. GMO 또는 GM식품 유통에 찬성하는 측은 위해성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반대하는 측에서는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고 되받아친다.

양측의 주장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GMO의 안전성을 입증하지 못하니 안전하다고 우기지 못하는 것이다. 반대로 위해성을 짐작하지만 과학적으로 입증하지 못하니 안전성을 증명하라고 윽박지른다.

 GMO나 GM식품이 인체에 끼치는 부작용이나 영향은 한 세대가 아닌 몇 세대에 걸쳐 연구해도 그 유의성을 찾기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니 GMO를 둘러싼 인류의 논쟁은 앞으로도 끝나지 않을 싸움이 될 것이 자명하다.

기아와 빈곤 해결을 위해 GMO를 허용해야 한다는 이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세계최대갑부 빌 게이츠가 그렇다. 그는 자신과 아내 이름을 딴 재단을 통해 아프리카 빈곤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는데 GMO에 우호적이며 연구개발에 적잖은 재원을 조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GM쌀인 ‘골든 라이스’를 두고 그린피스와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이 벌인 설전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문제는 찬반여부를 떠나 GMO의 급증과 대량 유통에 있다. 지난 20년간 GMO 재배면적은 100배나 늘었고, 종자의 35퍼센트가 GM 종자이며, 콩과 옥수수 등 수십 종의 GMO와 이를 재료로 쓴 식품이 오대양 육대주를 누빈다는 사실이다. 특히 전 세계 GMO의 40퍼센트를 생산하는 미국이나 GMO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한국은 이해관계가 첨예할 수밖에 없고 소비자들은 그만큼 불안감이 클 수밖에 없다.

최근 아르헨티나 선적 사료용 밀이 GM밀로 판별이 난 것이나 농촌진흥청의 GM벼 시험재배가 ‘몰래 재배’로 드러난 것은 논란을 가열하고 있다. 식품기업들은 ‘알 권리’는 무시하고 이해득실만 따지며 GMO 표시에 인색하다. 정부가 마련한 법제마저 표시대상, 혼입비율 등에서 기업의 ‘꼼수’를 허용하는 쪽으로 후퇴하고 있다. 특히 ‘non-GMO’나 ‘GMO free’ 표시를 불법으로 규정하는 것은 부당하다. 정부는 이제라도 GMO 표시제도 강화를 통해 국민의 알 권리와 건강권 수호에 힘써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