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한해 농사를 좌우한다는 말이 있다. 농업생산 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문이 날씨에 따른 기후변화다. 최근 한반도 주변의 이상기후로 인해 우리 농업이 큰 시련을 겪고 있다. 올해도 예외는 아니다. 이상기후로 인해 기상이변이 자주발생하면서, 농작물 피해 또한 커졌다. 농업은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비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이상기후, 홍수나 가뭄, 태풍으로 인해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인해 한반도 주변에 기온이 상승하면서 우리 농업에도 일대 혼란을 겪고 있다.

우리의 전통 농업방식에 따르면 지역마다 기후와 토양에 적합한 작물을 선택하고 작물의 특성과 환경에 맞는 농작물을 선택 해 왔지만, 최근 한반도 주변의 기온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작물의 재배지가 빠르게 변화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기온이 상승하면서 병해충 또한 발생이 빈번해져 농업생산액이 크게 감소하는 등 식량 생산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농업부문에서의 기후 변화 문제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상기후로 인해 농업생산성이 줄어들면 국가적으로는 식량안보문제, 농가차원에서는 농업생산액 감소로 이어져 농가소득이 줄 수밖에 없다. 물론 기후 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는 불가항력적인 요소가 있다.  하지만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해가 매년 크게 증가하면서 국내 농업에 막대한 피해를 안겨주고 있다. 이 같은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농업인 스스로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정부차원의 구체적인 기후변화 시스템 개발도 중요하다.

한반도 주변의 기후변화는 지구의 평균변화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최근 5~6월 기온이 빠르게 높아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4계절이 뚜렷하던 한반도의 기온이 이제는 봄이 없어지고 바로 여름이 시작되는 계절로 변하고 있다. 이 같은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농사 정보로는 한계가 있다. 국내 농업이 기후변화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새로운 기후변화 시스템을 개발·보급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