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증류주인 소주는 고려 충렬왕(1227년)때 몽고에서 들어왔다. 몽골은 국호를 원(元)으로 바꾸고, 남송까지 복속시킨 후 일본에 대한 원정을 시도하는데 이 과정에서 소주가 전래되었다. 원나라의 대본당(大本堂)이 있던 개성, 전초기지가 있던 안동, 전진기지가 있던 제주도 등에서 소주를 많이 빚기 시작하였다. 고려 후기부터 조선 초까지는 거의 약용으로 쓰였으나, 성종 이후에 이르러 대중에 보급 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약 48종의 소주가 전래되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전통 누룩이 아닌 일본에서 온 흑국(黑麴)을 사용하였고, 이후 1919년부터 희석식 소주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식량난까지 겹쳐 곡류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누룩 소주는 자취를 감추고 희석식 소주만 생존하게 되었다. 1990년 쌀 사용이 허용되면서 증류식 소주가 다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으나, 수입 주류와의 피할 수 없는 경쟁에 직면하게 되었다.

최근 전통 소주는 또 다른 부활을 꿈꾸고 있다. 조선의 3대 명주로 알려지는 평양의 감홍로, 전주의 이강주, 전라도의 죽력고가 다시 재현되고 있으며, 안동소주, 진도홍주, 문배주, 고소리 술 등 지역의 소주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지역의 대표 브랜드로 활용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화요, 황금보리, 일품 진로 등 전통의 소주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백의 민족, 고소리 콕, 풍류랑, 광복 등 전통소주를 베이스로 하는 칵테일 또한 인기를 끌고 있다.

우리의 전통 소주와 중국의 백주(白酒), 영국의 위스키 등을 만들게 된 기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유래한다. 기원전 2000년경에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살던 바빌로니아인들은 이미 증류(蒸溜)의 원리를 알고 원시적인 증류장치를 사용 했다. 이 기술은 기원적 5세기 경에는 인도에까지 진출했으며, 십자군 전쟁을 통해 유럽으로도 전해졌다. 상업적인 목적의 술 생산에 증류기술이 사용된 것은 15세기 무렵으로 보고 있다.

현대적인 모습의 위스키가 탄생한 것은 12세기경 아일랜드로 보고 있다. 로마의 수도사들에 의해 증류기술이 5~6세기경 아일랜드로 전파되었고, 이후 영국의 헨리 2세가 아일랜드를 정복하면서 스코틀랜드에 전해져 스카치 위스키가 탄생한다.

위스키가 곡물을 이용하여 만드는 술이라면, 브랜디는 과일을 발효시켜 증류한다.
가장 유명한 포도 브랜디로는 프랑스의 ‘꼬냑’과 ‘아르마냑’이 있다. 보통 브랜디라고 하면 포도를 증류한 것이나, 사과, 버찌, 자두 브랜디 등 종류가 다양하다. 사과로 만든 칼바도스, 버찌로 만든 키르쉬바서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외에도 걸작으로 평가받는 나라마다의 증류주는 많다. 수수를 원료로 만드는 중국 고량주, 사탕수수나 당밀로 만든 서인도제도의 럼, 노간주 열매를 넣어 만드는 네덜란드의 진, 러시아의 보드카 등도 모두 우리의 소주와 같은 증류주이다.

전통 소주가 지속성장하기 위해서는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수입산 증류주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과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원료 농산물의 품질과 제조방법을 엄격히 적용하는 등 품질향상에 힘쓰고, 포장비를 포함하는 출고가의 기준으로 부과되는 현행의 주세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아울러 관련 인력의 양성과 기관간 협업도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전통소주

우리나라의 증류주인 소주는 고려 충렬왕(1277년)때 몽고에서 들어 왔으며, 개성과 안동 등을 중심으로 전파됐다. 이후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점차 발달을 했는데 이때 곡식과 누룩, 물만으로 만든 순곡주와 약재를 넣은 약용주, 현재 전해지고 있는 소주를 즐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제 강점기 흑국(黑麴) 중심의 기업화로, 전통 누룩 소주가 쇠퇴 하고 흑국 소주의 시대로 전환됐다.

특히 한국전쟁(6.25)으로 사회와 경제가 혼란한 상황에서도 현실을 잊기 위해 소주의 소비량이 증가하였고, 전(戰)후에도 인기는 여전했는데 피난민들이 급증하면서 저렴한 가격에 최대의 음주 효과를 맛보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증류주로는 육당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서 조선의 3대 명주로 언급한 평양의 감홍로, 전주 이강주, 전라도의 죽력고 등이 있다.

 음식문화를 대표

술은 나라마다 고유의 음식문화를 대표하는 것으로, 많은 종류가 있으나 제조방법은 딱 3가지다. 과일이나 곡물을 발효시킨 발효주, 발효주를 증류한 증류주, 증류주에 약재 등을 혼합한 혼성주다.
우리나라 주류(酒類)시장은 맥주와 소주가 양분하고 있으며, 소비자 조사에서는 ‘술’하면 소주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고 대답했다.

소비자 인식 조사에서 ‘술’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주종은 응답자의 65.1%가 ‘소주’라고 대답했으며, 소주는 고민상담(47.2%), 맥주는 ‘피로 및 스트레스 해소(37%), 위스키는 접대(47.6%), 와인은 무드 조성(60.5%)으로 마시는 이유도 주종마다 달랐다.

이밖에도 지금까지 소주는 중장년 남자들이 주로 마시는 술로 알려져 있었는데 알코올 도수를 낮추고 과일향을 넣은 상품이 대거 출시되면서 여성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품질향상 모색

우리나라 증류주의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수입산 증류주의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기다.
증류식 소주를 포함한 우리 전통주의 대중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문제는 결국 맛과 품질이며, 원료농산물의 품질과 제조방법을 엄격히 적용하고,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품질 향상 방안의 모색해야 한다.

특히 스카치 위스키, 코냑은 자국산 농산물만 사용하여야 하며 증류기의 규모, 증류횟수, 알코올 농도, 숙성기간 등을 규정하여 관리하는 것에 비춰보면 우리나라도 현행의 포장비를 포함하는 출고가 기준으로 부과되는 주세제도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