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서 도시 이주 앞질러…일자리 등 거주기반 마련해야”

도시에서 농촌으로 삶의 터전을 옮기는 인구가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는 인구를 앞지르고 있다.
NH농협조사월보 12월호에 실린 김한종 농협중앙회 책임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순유출이 순유입으로 전환됐다.
농촌 순유출·순유입 인구는 시 이상 지역에서 군 이하 지역으로 이동한 인구에서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인구를 뺀 값이다.

김 책임연구원이 통계청 국내이동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농촌에서 도시로 옮긴 인구는 1970년대 이후 순유출을 지속하다가 2007년 순유입(9,617명)으로 바뀌었다.
2008년 다시 순유출 1,110명으로 돌아섰다가 2009년부터는 꾸준히 순유입을 이어가고 있다.
2009년 42만4,847명이 농촌에서 도시로, 43만9,318명이 도시에서 농촌으로 각각 이동했다. 지난해 농촌→도시 이동 인구는 33만5,593명, 도시→농촌 이동 인구는 36만7,677명이었다.

5년 새 전체 인구이동은 줄었지만 농촌으로 순유입한 인구는 2009년 1만4,461명에서 2014년 3만2,084명으로 5년간 약 2.2배로 증가했다.
김 연구원은 베이비부머 은퇴를 시작으로 귀농·귀촌이 가시화하면서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로부터 농촌으로 유입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도시화가 한계에 이르러 인구 유입력이 약해지고, 교통망 확충과 대도시의 높은 주거비 등으로 외곽 지역으로 인구 분산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수도권에서 농촌으로 이동한 인구는 11만9,020명이었다. 지방대도시와 중소도시에서는 각각 11만7,488명, 13만1,169명이 농촌으로 이동했다.
연령별로 40〜50대는 2001년 이후 농촌으로의 인구 이동이 순유입으로 전환했고, 30대와 60대는 각각 2006년과 2005년부터 순유입으로 바뀌었다.

30〜40대 농촌 유입 증가는 일자리와 소득 창출, 후계 농업인력 유지, 학생 수 증가 등으로 농촌공동체를 유지하고 지역을 활성화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김 연구원은 “앞으로 농촌으로의 인구유입을 촉진하려면 농촌에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기반과 일자리를 마련하고 농업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