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편하고자 하면 그 끝이 없는 듯합니다. 보구레를 이용해 온전히 사람의 힘만으로 밭을 갈아도 별로 힘들다고 여기지는 않았는데 세월이 가니 꾀가 나고 쉽게 처리하고 싶어집니다. 집에 있는 경운기는 사용하기가 겁나는 물건이라 수소문해 트랙터를 가지고 있는 이에게 밭을 갈아달라고 부탁을 했습니다.

트랙터는 경운기와는 달리 고가의 장비라 밭을 갈아주는 비용도 경운기보다는 비쌉니다. 여기서 대략 7km쯤 떨어진 동네에 거주하는 트랙터 주인은 참 별난 사람이었습니다. 저야 이 동네 신참이니 그렇다 치더라도 연이어 붙은 밭주인은 원주민임에도 퉁명스럽기 그지없고 불만이 가득한 얼굴로 뭘 물어봐도 제대로 대꾸도 안 하니 이런 답답한 노릇이 어디 있겠습니까. 트랙터 가지고 있는 게 뭐 대단한 벼슬이라도 된 양 밭이 비탈져 트랙터가 위험하다지 않나, 돌이 많아 로터리 날이 망가진다는 등 쉴 새 없는 불만을 쏟아내는 통에 그만 머리가 아플 지경이 됐습니다. 사실 트랙터 같은 고가의 장비도 년 중 사용하는 날이 손꼽을 정도니 이렇게 품앗이처럼 인근 밭이나 논을 갈아주고 대가를 받아야 장비를 운용하는 데 도움이 되니 보통의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일을 해준다고 하는데, 이 이는 좀 특이한 사람입니다.

세상에 제돈 내고 사정하는 일이 서울서 심야에 택시 잡는 일만 있는 줄 알았더니 시골에서도 이런 일이 있을 줄이야 어디 생각이나 해봤겠습니까. 이러니 구석구석 제대로 경운을 부탁할 수가 없어 그저 그이가 하는 대로 내버려 둘 수밖에 없었습니다. 집 뒤편 밭으로 트랙터가 올라가려면 중간에 심어놓은 매실사이로 빠져야 되는데 공간이 마땅치 않아 제법 나무 사이가 넓은 곳을 찾아 커다란 가지도 절단을 해야 했습니다. 이게 또 제가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일이라 강릉 사는 집주인에게 전화까지 걸어 양해를 구해야만 했으니, 이래저래 트랙터로 밭가는 일은 영 뒤끝이 안 좋은 일이 된 겁니다.

뒤편 밭을 빌려 경작하는 사람과 제가 사용하는 밭, 그리고 아래 밭까지 각자 경작하는 이가 다르니 대가도 3명에게 따로따로 받는다고 합니다. 다 합쳐봐야 한 1천5백 평쯤 되는 밭을 3개로 쪼개 일했다고 각자 8만원씩 줘야 된다고 하니 얼핏 생각해도 참 경우가 없는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기름값이야 얼마 들어가지도 않았을 거고 고급기술을 가진 인력도 아닌데 24만원이나 잠깐 새에 벌어가니 시골인심이 후하다는 것도 이젠 옛말이 된 게 맞습니다.

젊은이들은 없고 농사는 져야 하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게 농촌의 현실입니다. 품앗이 같은 좋은 전통도 사람이 있어야 유지되는 거지 노인들끼리 서로 품앗이해봐야 어디 티나 나겠습니까. 이러니 자꾸 기계에 매달려야 되고 과도하게 농기계에 투자하는 문제가 야기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규모가 큰 농장이야 온갖 농기계가 제 구실을 하겠지만 소규모 경작지에서는 경운기도 트랙터도 며칠 사용해보지도 못하고 창고에 처박히는 게 보통이니 이 문제는 잘 생각해봐야 될 것 같습니다.

농업기술센터나 지역농협이 농기계임대사업을 하고는 있지만 필요할 때 빌려 쓰기가 힘들고 설사 빌렸다 해도 노인네들이 기계를 다루기도 힘드니 기계를 갖고 있는 지역의 젊은이(?)들의 주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이 지역에서 작년까지만 해도 빌려 쓸 이가 요청하는 경작지까지 트럭으로 배달해 줬는데 올해부터는 자기가 가져가야 한다고 합니다. 경운기 한 대라도 실으려면 적어도 1톤 트럭은 있어야 되니 빌리고 싶어도 그만 포기하게 된다고 합니다.

옆 대추나무 과수원의 부지런한 젊은이도 그래서 중고 관리기를 사들이긴 했지만 그런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건 아닙니다.
그저 제 몸 움직여 부지런히 힘쓰면 해결될 일을 괜히 편하자고 시도한 것이 돈은 돈대로 들어가고 마음은 마음대로 불편한 결과를 초래했으니 앞으로는 며칠이 걸리더라도 그냥 혼자 힘으로 밭을 갈 작정입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