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비싸고, 밭 면적 적어 ‘외면’

전라북도로의 귀농, 귀촌 비중이 감소하면서 귀농정책자금, 안정적 영농소득 확보 등에 대한 체계적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라북도발전연구원은 최근 ‘전라북도 귀농·귀촌 현황과 향후 과제’ 보고서를 통해 전라북도 귀농·귀촌 현황과 장애요인 등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해 귀농, 귀촌인구는 전국적으로 32,424가구였으며, 전라북도는 이 중 9.2%, 2,993가구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2009년 21.6%에서 절반 이상 하락한 수치다. 반면 경기도의 경우 2010년 전까지의 귀농·귀촌가구 비중은 2~5% 수준이었으나 2013년 현재 전국 29%를 점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라북도발전연구원은 귀농, 귀촌인구 유입은 대도시의 접근성, 지가(地價)수준, 밭면적 등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상북도 상주시는 2012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귀농귀촌특별지원팀을 만들어 귀농인현장실습이나 농업창업 융자 지원 등 다양한 유인책을 펼치고 있다.

경북 상주와 영주는 전체 경지면적 중 밭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약 43%와 59.4% 등으로 농지구입비 대비 소득율이 높은 과수 등 특용작물 재배가 자리잡고 있다. 반면 전라북도는 귀농인 비율이 높은 고창의 밭 비율은 약 43%, 정읍은 약 30%에 불과했다.

이에 더해 고창군은 2012년부터 지가가 전국평균과 전라북도내 정읍, 남원 등의 지가상승률을 추월하면서 귀농, 귀촌인들이 농지구입 기간이 길어지고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기 시작한 것으로 해석됐다.
전라북도발전연구원은 “귀농인에게 핵심적인 농지·주택구입, 임대정보, 빈집알선, 일자리 정보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제공 체계가 필요하다”면서 이와함께 “가구주와 함께 유입된 귀농, 귀촌여성이 지역사회에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