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농업, 원격농장관리, 농가당 영농면적 증가 등 기대

무인항공기로 불리는 ‘드론’이 고령화와 젊은 층 이농 현상으로 어려움을 겪는 우리나라 농촌의 인력 문제 해결 등에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농협경제연구소는 지난 9일 ‘드론 시장 확대가 농업에 주는 영향과 정책과제’라는 보고서에서 “드론은 개발 초기부터 대부분 군사용으로 활용돼 왔고 최근 그 활용 범위가 물류, 통신, 스포츠, 기상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농업부문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농약살포, 작물파종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돼 온 바, 향후 농업용 드론이 확대 보급되면 미래농업에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드론은 헬기보다 구입비용이 싸고 조종이 쉬워 농업지역의 일조량, 수분, 토양상태, 해충 피해정도 등을 관리함으로써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정밀농업이 가능하다.

또 카메라와 센서를 장착한 정찰용 드론이 농장을 관찰하다가 문제가 발생하거나 처리해야 할 일이 생기면 스마트 기기를 통해 농장주에게 알려 농장주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원격농장관리도 가능하다.

또한 드론을 활용하면 짧은 시간에 최소 인력으로 넓은 농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농가당 영농면적 증가 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농작물에 최대한 가까이 카메라와 센서를 접근시켜 병충해가 발생한 특정 작물에만 제한적으로 농약을 살포할 수 있는 등 친환경농업 확대도 기대된다. 실제로 세계적인 드론 생산업체인 ‘3D 로보틱스’에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필요한 지역에만 농약을 뿌리는 드론을 현재 개발중에 있다.

농협경제연구소 이삼섭 실장은 “드론이 농업에 활용도가 높은 만큼 농업용 사용 확대를 위한 제도 등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면서 “다만, 고화질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의 활용이 늘어나면 사생활 침해와 같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드론의 사용면허와 활용 목적, 사용 규칙 등 규제안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