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사람이 이르기를 고양이를 기르는 집에는 쥐가 함부로 다니지 않는다.”
세조가 어사를 파견하라는 친서를 도승지에 하사 하시면서 하신말씀이라고 한다. 잘못될 이를 사전에 예방하는데 방법으로 고양이를 은유적으로 인용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민족에게는 고양이는 쥐를 잡는 용도로 주로 이용했다.

고양이가 인간과 관계를 맺은 것은 본능적으로 쥐를 잡는 습성과 외모가 크게 관여했다. 고양이는 자기 자신의 영역을 보호하려는 강한 습성이 있다. 특정한 장소를 정하고(Core Area) 그 범위를 외부의 적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본능이 있다. 자기보다 약자인 쥐가 자기의 영역에 들어오면 가차 없이 처벌 하는 것이다.

이런 자신의 영역보호본능은 사람에게도 있다, 사람과 고양이는 각각의 영역이 서로 생존권과는 관계가 없는 공존의 관계이기 때문에 가축화 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고양이는 인간의 거주지역의 따뜻함, 사람이 주는 애정, 사람과의 놀이 등이 이익이 됐을 것이며, 사람은 부드럽고 따뜻한 털을 가진 점과, 썩은 것을 먹는 쥐를 잡아주는 동물이기에 호감을 가졌을 것이다. 또한 고양이의 귀여운 외모와 행동도 가축화의 요인이 됐다.

지난 1896년 영국의 고고학자 Finders Petrie경은 이집트 라사지역에서 기원전 천년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피라미드에서 다량의 미라를 발굴했다. 그 중에는 고양이 두개골 미라가 190점 포함돼 있었다. 이 미라는 현재 대영박물관에 보관중이라고 한다. 사육자가 죽으면 고양이도 미라를 만들어서 같이 순장을 했다는 것이다. 아마도 사람과 친숙한 동물이기 때문에 순장의 희생물이 됐다는 설명이다.

이런 고양이의 미라에 대해 인간은 큰 우를 범한 사건이 있다. 앞에서 말한 고양이 두개골 미라이외에도 이집트 지역에서는 많은 고양이 미라가 발굴됐다고 한다. 이렇게 발굴된 미라는 역사적 · 동물분류학적으로 매우 귀중한 시료이지만 대부분 보존되지 않고 발굴자가 비료로 판매했다고 한다. 영국으로 19톤의 미라가 비료로 분쇄돼 선적됐다는 기록도 있다.

그러나 고양이의 일부 습성, 특히 울음소리, 야행성으로 고독하게 행동하는 것은 사람들에게는 경이로운 동물로 비춰지기도 했다. 그래서 고양이는 마술, 주술 미신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18세기 영국에서는 집을 지을 때 고양이 주검을 벽에 매몰해 두면 일생 쥐가 출몰하지 않는다고 믿었다고 한다. 현재 집을 개축하다 보면 5~6마리의 고양이 잔해가 발견된 사례가 있다고 한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