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날이 멀지 않았다. ‘한 살 먹긴 싫어, 떡국 먹긴 좋아.’ 모 통신사 광고문구로 아마 대부분의 성인들의 마음이 이렇지 않을까 생각된다.
설날에는 온 가족이 함께 모여 차례를 지내고 떡국을 먹는 것이 우리나라의 풍습이다. 설날에 먹는 떡국은 ‘첨세병(添歲餠)’이라 하여 한 살을 더 먹는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그렇다면 우리 조상들은 언제부터 떡국을 먹어 왔을까? 사실 그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후기에 편찬된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등 세시풍속을 기록한 문헌에 세찬에 없어서는 안 될 음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최남선의 『조선상식』에서는 상고시대의 신년축제 때에 먹던 음복(飮福) 성격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온 풍습으로 생각된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로 고대 태양숭배 사상에서 유래되어 떡국 떡의 둥근 모양이 태양을 의미한다는 설도 있고, ‘재산이 늘어나라’라는 의미로 시루에 찐 떡을 길게 늘려 뽑고 옛날 화폐인 엽전의 모양처럼 둥글게 썬 떡을 먹는다는 설도 있다.

떡의 흰색은 우리 민족을 상징하는 색으로 순수, 시작, 장수(長壽) 등을 의미한다고 한다. 따라서 새해 첫 날에 떡국을 끓여 먹음으로써 지난해의 안 좋았던 일은 깨끗이 잊고 새롭게 한 해를 시작하고 한 해 동안 건강, 장수,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에 떡국을 먹어온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떡국은 흰 가래떡을 타원형 모양으로 얇게 썰어 장국에 끓이는 것이나, 각 지방마다 조금씩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다. 충청도의 생떡국, 개성의 조랭이떡국, 경남의 굴떡국 등이 유명한데, 생떡국의 경우 흰떡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데 갑자기 떡국을 끓여야 할 때 만드는 떡국이다.

생떡국은 멥쌀가루를 끓는 물에 익반죽하여 가래떡처럼 길게 모양을 만든 후 가래떡 보다 약간 두껍게 썰어서 장국에 끓이는 것으로 쌀가루가 곱기 때문에 오래 반죽을 해야 잘 풀어지지 않는다. 요즘에는 어디에서나 쉽게 흰떡을 구할 수 있으므로 별미음식으로 애용되고 있다. 꼭 설날이 아니더라도 충청도에서는 가을에 아욱과 다슬기를 넣어 생떡국을 끓여 먹었다고도 한다.

개성지방에서는 누에고치 모양의 흰떡으로 떡국을 끓여 먹었는데 이를 조랭이떡국이라고 한다. 조랭이떡국은 흰떡을 가늘게 빚어 손가락 한 마디 정도의 길이로 자른 후 가운데를 잘록하게 하여 모양을 만든 후 장국에 끓이는데 그 유래가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예전에 어린 아이들의 주머니끈이나 옷끈에 액막이로 차는 조롱에서 나왔다는 설이고, 나머지 하나는 조선 건국과 관련된 설이다.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면서 고려 신하들에게도 충성을 바치기를 원했으나, 많은 고려의 충신들은 이를 거부하여 죽음을 당했고 따라서 졸지에 남편과 나라를 빼앗긴 부인들이 이성계를 원망하며 목을 조르는 시늉으로 만든 것이 조랭이떡국이라고 한다. 그 설이 무엇이든 간에 요즘에 조랭이떡국은 재밌는 모양으로 아이들의 간식이나 별식으로 애용되고 있다.

해안 지방에서는 쇠고기나 꿩, 닭 등의 육류가 아닌 해산물로 떡국의 장국을 끓이는데 경남의 경우 굴떡국이 유명하다. 멸치로 장국국물을 낸 후 흰떡과 함께 굴과 두부를 넣어 끓여 깔끔하면서 시원한 맛이 일품이다. 굴에는 단백질과 칼슘이 많이 들어 있어 ‘바다의 우유’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생굴을 드시지 못하는 사람도 굴떡국은 별미로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북한지방에서는 설날에 주로 떡국 대신 만둣국을 끓여 먹었는데 북쪽에서는 차가운 기후로 인해 쌀농사가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만둣국은 ‘복을 싸서 먹는다’라는 의미로 떡국과 따로 끓여 먹었으나 언제인가부터 떡과 만두를 같이 넣은 떡만둣국이 애용되고 있다.

올해 설날에는 늘 먹어온 떡국 대신에 위에서 소개한 별난 떡국을 끓여 가족, 이웃과 나누어 먹어 보는 것은 어떨까? 새 마음, 새 출발에 새로운 기분을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양숙(농촌진흥청 한식세계화연구단)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