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우리나라가 치산녹화(治山綠化)사업을 시작한지 30년이 되는 해이다. 해방이후 혼란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서 풀 한포기 없던 산들이 이제는 언제 보아도 푸르고 제법 울창하게 변했다.

그러나 우리의 산림녹화 사업이 성공적이었다지만 아직 산림의 ‘자원화’까지는 갈길이 먼 것처럼 보인다. ha당 입목 축적량이 1973년 11㎥에서 2002년에는 거의 7배가 증가한 70㎥로 늘어났다지만 아직 일본의 149㎥, 독일의 270㎥, 스위스의 337㎥에 비하면 보잘 것 없기 때문이다.

아마도 정부의 고민은 이제 막 푸르게 산을 바꾸어 놓긴 했는데 어떻게 해야 이 숲을 더욱 울창하고 야무지게 가꿔서 국가적으로 쓸모 있게 만드느냐 일 것이다.

얼마전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가 개최한 토론회에서도 임업과 산촌진흥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됐다.

조림 수종의 정비, 경제림 단지의 조성, 사유림의 경영 활성화, 산주의 소득안전망 구축 등이 과제로 제시됐으며, 산림의 다원적 공익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특히 산촌을 녹색관광의 거점지역으로 육성하는 방안마련도 국토 균형개발 차원에서 적절한 제안이라 할 수 있다.

녹화 사업이 30년간 진행되면서 우리 산림자원의 가치는 함께 커져왔다. 이제 산림은 단순한 산업용 목재의 공급기지로 가치가 평가되지 않는다. 주5일 근무제가 확산되면서 산림은 국민의 레저관광 및 휴식공간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산림의 공익적 기능 유지와 활용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다.

송재선 기자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