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지역의 교육 공동화가 더욱 심각한 수준으로 추락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폐교와 복식수업부터 중고등학교의 상치교사 운영 및 전학급증, 대학교의 입학 기피 등으로 농어촌지역의 교육은 뿌리부터 열매까지 황폐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전북도내 농촌 고교에서 전주, 군산, 익산에 있는 고교로 전학한 학생이 98년 1백29명에서 지난해에는 1백40명으로 증가했다. 올들어 21명이 전학했고 신청자도 1백14명 에 이른다고 한다.

지방대학도 심각한 수준이다. 최근 모 일간지 보도에 따르면 경북에 있는 사립 K대의 학생 충원율은 49%, 전북 S대의 충원율은 52%다. 전남지역 대학들은 지난해 3천9백27명의 신입생 자리가 비었다. 미충원율이 25.7%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서울 지역의 미충원율은 1.1%에 비하면 지방대학교 기피가 어느 정도 심각한지 알 수 있다.

'농어촌교육 특별법'제정을 위해 노력해온 '전북농촌학교살리기 운동본부'는 지난 23일 교육인적자원부에 이같은 농촌교육의 난맥상을 헤쳐나갈 방안으로 '농어촌교육특별법의 제정'과 '교육대학 졸업 남학생에 대한 공익근무' 등을 건의했다고 한다.

좋은 대안이며 정부와 국회가 이를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정부가 농업·농촌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의지가 실종되지 않았다면 이같은 문제는 농림부, 교육부, 국방부 등이 한마음으로 나서서 농촌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

아울러 농어촌학교의 폐교를 결정할 때는 학부모와 주민의 동의를 반드시 얻도록 할 것이며, 대학입시에 농어촌특별전형을 보다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길 바란다.

우리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높은 교육열이 있었기에 전후 50년간 이 나라를 이만큼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런데 한 나라에 나고 자라면서 단지 농어촌에 산다는 이유로 국민 기본권에서도 소외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면 분명 문제가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농업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